본문 바로가기
정책, 세무

장기주택저당차입금·월세액 공제 총 정리!

by hanbada-1 2025. 4. 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 시즌이면 꼭 알아둬야 할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주택임차자금, 월세액 공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헷갈리는 공제 항목들, 제대로 알면 세금 절약의 지름길이랍니다! 😊

오늘 정리해드리는 내용은 국세청 블로그에 소개된 자주 묻는 질문 7가지 중심으로 구성했어요.

 

 


1. 주택자금 공제, 뭐가 될까?

연말정산 때 집과 관련된 비용도 공제가 된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1) 1주택자, 다른 지역 월세 살 땐?

서울에 집이 있지만 부산 발령으로 오피스텔 월세를 낼 경우, 월세 공제가 될까요?
아쉽게도 1주택 보유 세대주는 원칙적으로 월세나 전세자금 공제가 안 돼요.
하지만 실제 거주하지 않는 보유주택이 있다면,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 공제는 가능하답니다! 

 

2) 회사에서 대출해준 전세자금도?

회사 복지로 전세자금 대출을 받았다면?
은행, 보험회사, 주택도시기금 등에서 받은 경우에만 공제가 가능해요.
회사에서 직접 빌려준 전세자금은 안타깝게도 ❌

 

3) 증여받은 집 대출도 공제될까?

배우자에게 증여받은 집에 대출을 받아 이자를 내는 경우는?
이건 소득공제 불가예요. 단, 부담부증여로 취득하고 3개월 이내에 대출받아 채무를 갚았다면 공제 OK!
조건이 좀 까다롭죠? 😅

 

 


2. 대출 변경·상환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공제!

이자율 낮은 은행으로 갈아탔을 땐? 상환 방식에 따라 소득공제 범위가 달라질 수 있어요! 📈

 

1) 대출 갈아타면 공제는?

이자율이 더 낮은 B은행으로 갈아탔다면?
신규 대출이 기존 조건(최초 차입일 기준 15년 이상)을 충족하면 공제 OK!
이사처럼 대출도 ‘타이밍’과 조건이 중요해요. ⏱

 

2) 거치식? 비거치식? 헷갈리는 상환 방식

초기엔 이자만 내고 나중에 원금도 갚는 대출, 공제 받을 수 있을까요?
비거치식 조건을 일정 부분만 충족해도 2천만 원 한도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즉, 중간에 잠깐 원금 적게 갚아도 괜찮아요! 🙆‍♂️

 

3) 원금 많이 갚으면 유리할까?

대출약정보다 많이 상환했다면?
실제 상환 금액이 연간 기준 이상이면 비거치식으로 인정받아 공제 한도 확대 가능해요.
조금이라도 여유 있다면 미리 갚는 게 유리할 수도 있어요! 💸

 

 


마무리

자, 지금까지 주택자금 연말정산 공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정리해보면:

  • 보유 주택 상황에 따라 공제 가능 여부 다름
  • 대출 기관·방식·시기에 따라 공제 여부 달라짐
  • 비거치식 상환 조건 맞추면 공제 한도도 올라가요!

세금은 꼼꼼히 챙겨야 손해 안 보겠죠?
연말정산 준비하시는 분들께 꼭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

 

도움이 되셨나요? 더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